중소기업의 기업대출 연체액은 2022년 2분기까지 11조원대 이하를 유지하다가 윤석열 정부 출범 직후인 2022년 3분기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2025년 1분기에는 역대 최대치인 54조 8천억 원을 기록했다. 특히 이 시기는 2024년 12월 비상계엄 직후로 연체액 규모가 직전 분기(44.5조원)보다 10조원 이상 급증해 중소기업이 겪은 피해를 짐작할 수 있다.
연체율 역시 2015년 이후 0~1%대를 유지하다 윤석열 정부 3년간 가파르게 상승했다. 반면 대기업의 연체율과 연체액은 10년 전인 2015년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 대기업 재무건전성이 개선되고 있는 반면, 중소기업은 대출 원리금 상환조차 어려운 상황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같은 상황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기업대출 연체율 격차는 2022년 4분기부터 점차 확대되기 시작해 2024년 3분기에는 2.9%p, 올해 1분기 3.26%p로 역대 최대폭을 기록했다. 지난 2분기 3.02%p로 다소 격차가 줄어들었으나, 대-중소기업 간 재무건전성 양극화는 심화되는 추세다.
특히 중소기업 대출을 은행권과 비은행권으로 비교해 보면 중소기업이 겪고 있는 어려움이 극명하게 드러난다. 2016년 2분기 이후 2%대를 유지하던 중소기업의 비은행권 연체율은 2023년 1분기에 4%대를 넘어 지난해 7%대, 올해 1분기 8.72%로 올라섰다. 같은 기간 중소기업의 은행권 연체율은 0%대에 머물고 있다.(그림3)
비은행권에서의 대출 연체율 상승은 은행권에서 자금 조달이 어려운 중소기업들이 저축은행, 상호금융 등 비은행권에서 자금을 빌린 후 원리금을 제때 갚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졌음을 보여준다. 2025년 2분기 현재 중소기업의 비은행권 연체율(8.39%)은 은행권 연체율(0.74%)에 비해 약 11.3배나 높은 수준이다. 통상 비은행권 이자율이 은행권에 비해 높다는 점을 감안할 때, 중소기업의 대출 연체로 인한 재정적 부담은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