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에게 원내대표

종교 법인의 투명성 강화를 통한 사회 개혁 제안

  • 2025-08-06 10:13:34
  • 2 조회
  • 댓글 0
  • 추천 0

[의견서] 종교 법인의 투명성 강화를 통한 사회 개혁 제안

- 재정의 공공성 확보 및 민주적 운영구조 도입을 중심으로 -


1. 문제 제기: 그늘진 곳에서 반복되는 사회적 논란

​최근 특정 종교 단체의 불투명한 자금 운용과 이를 통한 정관계 로비 의혹이 연일 언론에 보도되며 큰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막대한 헌금이 신도들의 염원과 달리 소수 권력층의 사적 이익이나 영향력 확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의혹은 국민적 불신을 키우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것이 특정 종교만의 일탈로 치부될 수 없다는 점입니다. 많은 종교 단체가 공익적 활동에 헌신하고 있지만, 동시에 일부 종교 법인은 법의 사각지대에 놓인 채 '성역'으로 여겨지며 재정 및 운영의 투명성 확보에 미흡한 것이 현실입니다. 이는 건강한 신앙생활을 영위하는 대다수 선량한 신도들의 명예를 실추시키고, 종교와 사회의 건강한 관계를 저해하는 근본적인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2. 제안 1: 종교 재정의 완전한 공공성 확보

​의혹의 핵심은 불투명한 돈의 흐름입니다. 이에, 모든 종교 법인의 재정을 법의 테두리 안으로 완전히 편입시켜 투명성을 확보하고, 그 자금이 오직 공공의 이익을 위해서만 사용되도록 의무화할 것을 제안합니다.

​이를 위해 현행 상속세 및 증여세법 상의 공익법인 규제를 모든 종교 법인에 예외 없이 적용하거나, 나아가 가칭 '종교법인 운영 투명화 특별법' 제정을 검토할 수 있습니다. 독일이 '교회세(Kirchensteuer)'를 통해 재정 투명성을 확보하듯, 우리 사회도 종교 재정이 더 이상 의혹의 대상이 아닌 신뢰의 기반이 되도록 제도를 구축해야 합니다.

3. 제안 2: '종교 민주주의' 도입을 통한 근본적 개혁

​재정 문제의 뿌리에는 소수에게 권력이 집중되고 세습되는 전근대적인 운영 구조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따라서 법적인 보호와 각종 세제 혜택을 받고자 하는 모든 종교 법인에 대해, 지도부 선출에 민주적 절차를 도입하고 권력의 사유화 및 세습을 방지하는 내부 규정을 마련할 것을 '조건'으로 제시해야 합니다.

​이는 결코 '종교의 자유 침해'가 아닙니다. 신앙이나 교리가 아닌, '법인'으로서의 운영에 대한 최소한의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는 것입니다. 오히려 이 제안은 소수 권력자의 전횡으로부터 대다수 선량한 신도들의 권리와 재산을 보호하는 가장 효과적인 장치가 될 것입니다.

4. 제안 3: '종교 민주주의'는 탄압이 아닌, 사회적 정당성 확보의 기회

​특히, 스스로를 주류 종교계의 '탄압'을 받는 소수 집단으로 규정해 온 특정 종교들에게 본 제안은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이들이 '사이비 종교'라는 비판을 받는 근본적인 이유 중 하나는 폐쇄적이고 비민주적인 운영구조와 불투명한 재정 때문입니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본 제안이 제시하는 '종교 민주주의'는 이러한 굴레를 벗어날 최고의 기회입니다. 스스로 조직 운영의 민주성과 재정의 투명성을 증명함으로써, '탄압받는 소수'라는 프레임을 넘어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정당성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외부의 비판을 잠재우고, 기성 종교계의 부당한 압박으로부터 스스로를 지키는 가장 강력한 무기가 될 것입니다. 낡은 권력 구조를 내려놓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자립과 성장의 시작입니다.

5. 결론: 상식과 공정이 통하는 사회를 향하여

​본 제안은 다음 세 가지를 핵심으로 합니다.

첫째, '특별법' 제정 등을 통해 모든 종교 법인의 재정 투명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둘째, 법적 지위의 조건으로 권력 세습을 금지하고 민주적인 운영 체계를 갖추도록 해야 합니다.

셋째, 이 개혁이 특정 종교에게는 '탄압'이 아닌, 사회적 신뢰를 얻고 스스로를 방어할 '기회'임을 인식시켜야 합니다.

​과감한 결단으로 그늘진 곳에 빛을 비추고, 종교가 본연의 순기능을 회복하여 사회의 신뢰를 되찾게 하는 것. 이것이야말로 우리 사회를 한 단계 더 성숙시키는 진정한 개혁의 시작이 될 것입니다.​ 


댓글

최신댓글

신고하기
신고 게시물은 삭제되며, 해당 게시물을 올린 유저는 덧글쓰기 및 글쓰기 제한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 허위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활동에 제한을 받게 되오니, 그 점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