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는 미국이 주도를 하고 있지만..
따지고 보면 미국의 엔디비아 같은 성능이 뛰어 나고 전력을 충분히 끓어 쓸수 있고..
이 고성능의 반도채를 수급할 공장과 자본이 이루어 져야 합니다..
하지만..
최근 중국의 딥시크 AI에서 봤듯이..
기존의 미국에서 알려진 AI 와는 설계 부터 다른 AI 라는것 입니다..
우리나라도 포털의 자료와 공개된 해외 자료를 취합 하고 판단해서 출력하는 AI를 설계를 해 보자라는것 입니다..
현재 네이버에서도 AI를 내 놓았지만..
조금 더 가다듬어야할 상황이 많이 있고..
비용과 전력의 수급도 다시 꼼꼼하게 살펴 봐야 할것 입니다..
거기에 국가적인 차원에서 RND 개발 능력을 지원을 해줘야 합니다..
예산도 올리고 연구원의 처우개선도 해줘야 하고..
인재를 양성도 게을리 해서는 않됩니다..
또한 앞으로는 미국 유럽 같은 나라의 기술만 최고다 라는 사대부적인 생각을 버리고 우리나라도 할수 있다..
가까운 중국에서도 가지고 올수 있으면 가지고 오고 인재를 모집 할수 있으면 모집해 오는 유연한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
또한 딥시크는 오픈 소스 이니깐 국내 포털에서도 가지고 와서 우리나라 만의 AI를 다시 다듬어 만들어야 할것 입니다.
특히 중국의 치부 내지 숨기고 싶어 하는 발언을 제대로 나올수 있도록 오픈 소스니깐 고쳐서 우리나라만의 AI를 만들어서..
우리나라도 AI 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봅니다..
미국의 AI는 성능과 사용료를 너무 많이 지불해야 해서 소위 있는 기업 말고는 사용 하기 힘드니..
우리나라의 젊은 기업내지 벤처 기업에서도 저렴하게 사용할수 있는 AI 오픈 소스를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김경수를 비롯한..
댓글